“프랑스폭동, 남일 아니다…‘짱깨’라며 차별, 20년 전과 똑같아”

입력
수정2023.07.10. 오전 8:07
기사원문
이영민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중국 동포 밀집한 영등포구 대림동 가보니
“‘과일은 먹고 사냐’ 무시하는 문화, 지금도 그대로”
“백인들엔 친절, 중국 동포엔 냉대”
“이주민 접촉 경험 늘려 인식 개선해야”
[이데일리 이영민 기자] “국적은 중국이지만 저도 성은 김해 김씨예요. 중국에서 저는 소수민족이라고 냉대를 받지만 한국은 같은 민족이니까 따뜻하게 반겨줄 거라고 기대했어요. 부푼 마음으로 왔는데 실제 생활은 예상과 달랐죠.”

중국어와 한국어가 혼용된 간판들이 4일 서울 영등포구 대림동 일대 건물에 달려 있다.(사진=이영민 기자)
경기도 수원시에 사는 김동휘(41·중국인 조선족)씨는 20년간 한국에서 설움을 토로했다. 김씨는 “중국인, 조선족 사람 한둘이 문제여도 한국 사람들은 전체를 욕한다”며 “좋은 한국인도 많은데 막 대하는 사람들을 보면 가슴 아프다”고 했다.

특히 그는 한국에 사는 중국 동포들 사이에서 차별에 따른 반감이 쌓여가고 있다고 했다. 김씨는 “저도 ‘짱깨’라는 말을 들으면 울화가 치밀지만 문제를 일으켜서 벌금을 많이 받으면 추방되니까 참는다”고 했다. 이어 “아직 그 시기까지는 아니지만, (분노가) 쌓이고 쌓이면 언젠가는 폭발하지 않나”라면서 “일부 중국인의 잘못을 전체로 확대해서 욕하지 말아달라”고 호소했다.

최근 프랑스에서 알제리계 10대 소년의 사망 후 벌어진 이민자 폭동은 ‘남의 나라 일’로만 치부할 일이 아니다. 더 나은 일자리와 처우를 바라고 우리나라를 찾는 중국 동포들이 늘고 있는데, 이들이 느끼는 차별과 소외는 시간이 지나도 바뀌지 않고 계속 쌓여가는 중이다.

6일 오후 둘러본 서울 영등포구 대림동. 중국인과 조선족이 밀집해 사는 곳이다. 여기서 만난 조선족 이주민들도 “같은 조상과 역사를 공유하고 있지만, 한국에서 소외감을 느낀다”고들 했다.

대림동에서 중국식료품을 판매하는 양모(52·중국인 조선족)씨는 세월이 흘러도 외국인 차별은 여전하다고 말했다. 그는 “가족들이 1940년대 태평양 전쟁 때 중국 연변으로 이주했다가 20년 전 한국으로 돌아왔다”며 “처음 여기 음식점에서 서빙 일을 할 때 ‘과일은 먹고 사냐’, ‘TV는 있냐’고 무시하는 말을 많이 들었다”고 했다.

특히 이들은 한국 사람들이 피부색, 국적을 따져 자신들을 더 차별한다고 성토했다. 양씨는 “지금도 은행이나 동사무소에 가면 대우가 다르다”면서 “미국인한테는 친절한데 우리한테는 왜 눈빛이랑 행동으로 그렇게 무시하는지 묻고 싶다”고 하소연했다. 지난해 일자리를 찾아 한국에 온 신준범씨(27·중국인)는 “어제 홍익대 주변에서 옷을 살 때 점원이 백인에게는 굉장히 친절했는데 내가 가니까 대답도 안 했다”면서 “이런 태도에서 아직도 차별이 있다고 느낀다”고 했다.

정부는 줄어드는 인구로 이민청 설립 등 이민자 수용 확대를 고민하고 있지만, 국민들 사이에선 아직도 순혈주의 성향이 강하다. 지난해 여성가족부가 발표한 ‘2021년 국민 다문화수용성조사’에서 성인의 다문화수용성 점수는 52.3점을 기록했다. 2015년 53.9점, 2018년 52.81점 등 시간이 흐를수록 수용성은 오히려 떨어지고 있는 걸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최근 프랑스 사례처럼 외국인에 대한 차별은 사회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진혜 이주민센터 친구 사무국장은 “한국은 재외동포가 많아서 이주민의 인종적 통일성이 있긴 하나 문화와 국적에 따른 차별이 많다”면서 “이주민과 만날 기회를 늘리고 한국인도 이주민을 이해하는 교육을 받아야 한다”고 했다. 이 국장은 “최근 온라인 상의 혐오 댓글도 큰 문제”라며 “이런 표현을 거르는 제도적 장치도 계속 논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기자 프로필

안녕하세요. 이데일리 사회부 기자 이영민입니다. 많은 제보 부탁드립니다. (yml1221@edaily.co.kr)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