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밥통 옛말… 공무원 45% "기회오면 이직"

입력
수정2023.03.26. 오후 6:41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이직희망, 1년만에 12%p 늘어

낮은 보수·연금개편 논란 원인

"성과 바탕 보상체계 도입 필요"




공무원 6000명 실태조사

공무원 절반 가까이가 이직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직 의사가 있다고 답한 공무원 비율은 1년 만에 11.7%포인트 증가했다. 박봉에 공무원 연금 개편 논란 등이 겹친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한국행정연구원이 26일 공무원 600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1월 21일부터 올해 1월 18일까지 진행한 2022년 공직생활실태조사 결과에서 '나는 기회가 된다면 이직할 의향이 있다' 문항에 '그렇다'라고 답한 중앙부처 및 광역자치단체 공무원은 45.2%였다.

이직 의사가 있는 공무원은 2017년 28.0%, 2018년 28.1%에서 2019년 30.1%를 기록해 30%대로 올라섰고 2020년 31.1%, 2021년 33.5% 등 해마다 증가했으며 지난해 조사에서는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공무원 연금 개편 논란과 업무에 비해 박봉이라는 인식, 민원 증가 등을 공무원 이직 원인으로 꼽혔다. 2021년에는 공무원 이직 의향 이유가 '낮은 보수'(34.7%), '가치관·적성에 맞지 않아서'(14.0%), '과다한 업무'(13.5%) 순이었다.

최근 20∼30대 공무원 퇴직자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40대 공무원 퇴직자 수도 2019년 이후 급증했다. 특히, 20대 공무원 퇴직자는 2021년 3179명으로 2017년(1618명)의 2배로 증가했다.

공무원연금공단 통계에 따르면 공무원의 일반퇴직(의원면직)은 2017년 9167명에에서 2021년 1만5720명으로 71.5% 늘어났다. 2021년 기준 의원면직 퇴직자 중 30대 공무원이 35.5%로 최다이며 20대의 비중도 19.8%로 증가하고 있다.

직업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나는 공무원 신분으로 근무하는 것에 대해 만족한다'는 문항에 '그렇다'고 답한 비율은 10명 중 4명 수준이었다. '공무원은 사회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는 문항에 긍정적으로 답한 공무원은 20% 미만이다.

행정연구원은 "성과를 바탕으로 하는 투명하고 정확한 평가와 보상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공직의 난이도는 높아지고 사회적 지위는 낮아졌다는 인식이 확산하고 있다"면서 "가장 큰 메리트였던 공무원 연금체계의 개편은 공무원 사기 저하의 한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정부세종청사 <연합뉴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