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열어보기] 전공의가 없어‥강남 세브란스도 소아응급실 야간진료 중단

입력
수정2022.10.24. 오전 6:50
기사원문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뉴스투데이]
◀ 앵커 ▶

‘뉴스 열어보기’ 시작합니다.

◀ 앵커 ▶

오늘은 한밤중이나 휴일에 아이가 크게 아플 때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소아응급실이 사라지고 있다는 기사부터 살펴보겠습니다.

◀ 앵커 ▶

중앙일보입니다.

◀ 앵커 ▶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전국 80개 수련병원 가운데 24시간 소아과 전공의·전문의가 상주하면서 소아 중환자 진료가 가능한 병원은 29개, 36%에 불과합니다.

아이 진료가 성인보다 까다로운데다 저출산 추세로 병원을 찾는 소아환자가 줄면서 소아과 기피 현상이 심해졌기 때문이라는데요.

실제로, 서울 강남세브란스병원도 최근 한 명 뿐이던 1년 차 소아과 전공의가 병원을 떠나면서 오늘부터 소아청소년과의 응급실 야간진료를 중단한다고 합니다.

◀ 앵커 ▶

<'성비위 징계 수위' 은근슬쩍 낮춘 경찰>이란 제목의 국민일보 기사 보겠습니다.

신문에 따르면, 경찰은 2017년 내부 기강해이 사례가 잇따르면서 경찰 성폭력 범죄에 대한 징계 하한 수위를 '해임'으로 높였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9월 규칙 개정으로 '공연 음란 행위'나 '카메라 등 이용 촬영 행위' 같은 일부 성폭력 범죄 유형은 이보다 낮은 정직 이상의 처분도 가능하도록 바꿨다는데요.

이 때문에 올해 1월에서 8월 징계가 이뤄진 18건의 성폭력 사건의 경우, 기존 징계 규정이 적용되면 전원 해임 이상에 해당하는 사유지만 규칙 개정으로 8건의 행위자가 강등 이하의 징계를 받았다고 합니다.

◀ 앵커 ▶

한국일보는 필리핀에서 한국인을 표적 삼는 셋업, '함정 범죄'가 다시 기승을 부릴 조짐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셋업은 미리 정한 대상을 함정에 빠뜨려서 석방을 대가로 금품을 요구하는 범죄 방식인데요.

요즘에는 가이드, 현지 여성, 경찰이 짜고 한국인 관광객에게 미성년자를 접근시켜 성매매를 하게 한 뒤 경찰 신고를 빌미로 돈을 뜯어내는 수법을 많이 쓴다고 합니다.

공권력도 범죄에 가담하는 경우가 많다보니 한 번 걸려들면 빠져나오기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인터넷카페나 SNS를 통한 필리핀 여행 상품은 일단 의심할 필요가 있다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 앵커 ▶

다음은 조선일보입니다.

고용노동부 집계에 따르면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된 올 1월부터 9월 말까지 일어난 중대 재해는 443건이고요.

사망자는 446명으로, 사망자가 하루 1.8명꼴로 발생했습니다.

지난해 사망자 수 441명과 비교해보면 법이 새로 생긴 뒤에도 산재 사망자가 거의 줄지 않았다고 합니다.

게다가 지난달 19일까지 고용부가 중대법 위반 혐의로 입건한 사건 56개 중 21건이 검찰에 송치됐지만 현재까지 검찰이 기소한 사건은 2건에 그친다고 하는데요.

이렇다보니 노동계에서는 "법을 제대로 적용하지 않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는 반면, 경영계는 "사업주가 부담해야 하는 책임이 너무 크다"고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고 합니다.

◀ 앵커 ▶

끝으로, "전국 하수서 필로폰 검출에 신종마약까지... '마약 청정국'은 옛말" 이라는 동아일보 기사입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올해 4월까지 1년간 '하수역학기반 신종·불법마약류 사용 행태 조사'를 진행한 결과, 전국 대규모 하수처리장 27곳에서 필로폰 등 불법 마약류 성분이검출됐다고 밝혔는데요.

이 같은 하수 역학은 하수 시료를 채취해 잔류 마약류를 분석하는 기법으로, 인구 대비 마약류 사용량을 파악할 수 있다고 합니다.

문제는 검출이 되지 않는 신종 마약이 끊임없이 나오고 있다는 건데요.

신종 마약의 유통 주기가 워낙 짧아 검출 기술 개발 속도가 못 따라간다는 겁니다.

실제로 2020년부터 식약처가 임시 마약류로 지정한 40가지 성분 중 35%는 국내 반입·유통이 된 뒤에야 임시 마약류로 지정됐는데요.

키트 개발만으론 우리 사회에 마약이 얼마나 퍼져 있는지 확인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신문은 지적했습니다.

지금까지 '뉴스 열어보기'였습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