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저자들은 수류탄 폭발시 나타나는 중요소견들을 이전의 사망사건과 비교하여 고찰, 정리하는 것이 향후 객관적이고 정확한 법의 감정을 위해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하여 도살처리된생후 6~8개월의 몸통길이 100 cm, 무게 70~100 kg 가량의돼지 8마리에 수류탄을 폭발시켰고, 이를 방사선 촬영 및 부검하여 그 손상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1. 접촉폭발시에는 모든 경우 신체의 결손과 매흔, 소흔이 나타났다. 2. 접촉폭발 혹은 25 cm에서 폭발한 경우 골절이 나타났다. 3. 25~50 cm에서는 표재성 열창과 파편창 주위의 매흔이나타났다. 4. 150 cm에서는 사망에 이를 만한 치명적인 외상 및 내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5. 수류탄이 지면과 신체에 매우 밀착하여 접촉된 경우에는화염의 지속시간이 짧게 나타났으나(일반적인 폭발 대비0.7%), 소흔이 일반적인 접촉폭발에 비하여 강하게 나타났다. 6. 폭발 후 신체의 위치는 접촉폭발시에는 매우 변동적이며예측하기 어렵다. 7. 파편에 의한 손상은 50 cm까지는 내부장기까지 파편창이관찰되었고, 비접촉폭발시에는 모두 표재성근육까지 파편이 관찰되었으나 접촉폭발시에는 심부근육까지 파편이관찰되었으며, 몸통을 관통하여 지나간 흔적은 전혀 발견하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수류탄 폭발에 의해 사망한 경우 만약 신체의 결손이 광범위하게 있다면 이는 수류탄이 결손된 신체부위에 접촉된 것으로 판단하여도 무방할 것이며, 본 실험을 실제 사례에 무조건적으로 대입하는 것은 위험하나 본 실험의 데이터 상접촉이나 25 cm 이내의 폭발시 골절이 관찰되고 신체에서 50cm 이상의 거리에서 폭발한 경우 신체의 결손이나 열창이 전혀 없었다는 점은 향후 수류탄의 폭발에 의한 사망의 부검감정시 좋은 참고점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마찬가지로 사망자의신체에서 매흔이 광범위하게 관찰된다면 이는 수류탄이 지면이나 신체에 근접하지 않는 자유로운 상태(free floating)로 25cm 이하의 거리에서 폭발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매흔이 관찰되지 않는다면 이는 50 cm 이상의 거리일것으로 참고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사망자의 발견시의 체위나방향 등은 폭발전의 사망자의 상황을 정확히 대변하지 못하며특히 접촉폭발시의 경우에는 섣부른 예측은 매우 위험하다고할 것이다.


Deaths caused by grenades hardly occur except for during wartime, and can be seen as a particular incident that can be observed only within the military or by acts of terrorism. However, there has never been any data which tried to analyze the damage patterns through mock grenade explosions. So far, the processes leading to deaths were merely inferred by reconstructing the situation with limited intelligence after the incidents have already occurred. Therefore, the authors believe that having mock grenade explosions in order to compare and study the observances with those of the actual incident will be helpful for a more precise and objective medical jurisprudence,and thus have summarized the damage patterned obtained on 8 butchered pigs, that were 6~8 months old, about 100 cm in length and 70~100 kg in weight by photographing with radioactive rays and running autopsies after detonating grenades on them. In conclusion, if there was extensive loss of body parts, the grenade probably exploded when in contact with the lost body parts. If fractures were found the grenade is likely to have detonated contacting or within 25 cm of distance with the body, and if there were no lacerations or loss of body parts the grenade probably exploded at a distance of at least 50 cm. If soot was prevalent on the deceased’s body, the grenade is likely to have exploded within a distance of 25 cm from the body at a free floating state, in which it was not in contact with the ground or the body. Lastly, if no soot was found, the grenade most probably detonated at a distance of 50 cm or more. The posture or the direction of the body cannot give precise clues of the victim’s state before theexplosion, and a hasty presupposition could be very dangerous in case of contact explosions especially.